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UE4] 언리얼 엔진 데디케이티드 서버(Dedicated Server) (2) 지난번에는 언리얼 엔진 소스 코드를 다운해 예제 프로젝트까지 만들어봤습니다. 이번에는 서버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이전 글] [UE4] 언리얼 엔진 데디케이티드 서버(Dedicated Server) (1) 지난번 만든 테스트 프로젝트를 열어줍니다. 그리고 콘텐츠 브라우저에 있는 Maps 폴더를 밖으로 꺼내 콘텐츠 폴더의 하위 폴더로 만들어줍니다. Maps 안에 새로운 레벨을 만들어줍시다. 아래와 같이 빈 레벨로 프로젝트명Entry 이름의 레벨을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해당 레벨의 레벨 블루프린트를 열어서, BeginPlay 이벤트 노드를 Open Level(by Name) 함수 노드와 연결해주세요. 그리고 Level Name에 127.0.0.1을 넣어주세요. Level Name에는 IP가 들어가게 됩니다. .. [UE4] 언리얼 엔진 데디케이티드 서버(Dedicated Server) (1) 언리얼 엔진으로 데디케이티드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디케이티드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언리얼 엔진의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받아야 하는데요, 그러려면 먼저 언리얼 엔진 깃허브와 연동을 해야 합니다. 연동 방법과 설치 방법은 링크에서 친절하게 잘 알려주므로 링크에서 알려주는 방법대로 하셔도 됩니다. 깃허브 연동하기 GitHub 내 언리얼 엔진 4 언리얼 엔진은 게임, 시뮬레이션, 시각화의 디자인 및 개발에 사용되는 통합 크리에이터용 툴세트입니다. www.unrealengine.com 소스 내려받기 Setting Up Dedicated Servers How to set up and package a dedicated server for your project. docs.unrealen.. [언리얼 엔진] 그레이박싱 언리얼 엔진 4의 이용법을 숙지하기 위해, 언리얼 엔진 4 책을 꺼내들었다. 이 책에서는 '페이퍼 닌자'라는 예제 게임을 가지고, 실제 게임 개발 단계를 거쳐가며 작업을 진행해 나간다고 밝혔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제작 과정과는 조금 다른 순서라고 한다. 그레이박싱 맵을 만들 때 ○나 □같은 기본적인 형태와 테스트 애셋으로만 만들어 빠른 속도로 맵을 만들어보는 공정을 그레이박싱이라고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맵을 그레이 박스라고 한다. 애셋(asset)은 게임에서 사용할 그림, 음악 등의 재료를 말한다. 페이퍼 닌자라는 예제 게임의 스테이지 1은 이 그레이박싱을 진행해서 완성시켜보는 단계를 거쳐볼 것이다. 우선 프로젝트를 만들고 언리얼 엔진을 실행시켜보자. 콘텐츠 폴더에서 Maps 폴더를 추가해.. 이전 1 2 3 다음